작곡가 이혜성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본문 바로가기

머리말


훌륭한 음악작품을 작곡가의 의도만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명작과 졸작의 차이는 과연 어디에 있을까? 저자는 작곡하는 학생들과 악기를 연주하는 학생들에게 작곡과 연주에 보다 밝은 대위 적 눈과 귀로 작곡가의 의도를 대화의 차원에서 악보를 보고, 듣고, 느끼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은 저자가 비인에서 유학당시 Erich Urbanner교수에게 Ernst Tittel의 Der neue Gradus( 1725년에 출판된 Fux의 Gradus ad Parnassum을 기초로 만들어진 책) 를 기본으로 배운 내용과 대학 강의를 통한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본서는 일반 음대생에게는 높은음자리표와 낮은음자리표만으로 공부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작곡생도들에게는 가온음자리표를 동시에 읽을 수 있도록 그 범위를 넓혔다. 16세기 당시의 작품을 보고, 노래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본 법칙을 익히면서 거장의 작품을 수록하여 접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음악적 대위선율과 비음악적 대위선율의 예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학생의 예를 함께 다루었으며 특별히 이번 개정, 증보판에 더 많은 예를 넣었다.

끝으로 대위를 왜 공부해야 하는가 하는 의문을 갖는 학생들은 꼭 아래의 내용을 읽기 바란다. 서양악보를 읽을 때 대위를 모르고 읽는 것은 마치 알파벳만 알고 독일어, 이태리어, 프랑스어, 영어를 무조건 읽는 것과 같다고 할 만큼 혼돈이 일어난다. 더욱이 대위는 쉽게 이해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인내가 필요하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학문을 하는 자세를 말할 때 시작은 강직하고 기본부터 철저히 하고 배운 후에는 생각과 표출하는 방법이 자유로워야 한다고 했다 (入於有法 出於無法 입어유법 출어무법). 이는 대위를 학습 하는데도 적용되는 자세라 하겠다. 우선 제대로 철저히 배우는 자세로 임하기 바란다. 특히 대위가 무엇인가를 늘 생각하면서 임한다면 분명 대위적 시각을 얻게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개정판을 완성하기까지 많은 관심과 협조를 아끼지 않으신 노창령 사장님과 편집에 정성을 쏟은 손종채 에게 감사를 전한다.

개정, 증보판 2011년 2월 저자 이혜성
참고말씀: 16세기 대위 교재는 이제 한국에서도 원서와 번역본이 많이 출간된 상태이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대위교제를 동시에 학습할 경우에 오는 법칙의 혼란을 막기 위하여 저자가 제안할 수 있는 방법은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을 경우에는 한권의 책을 제대로 통달하면서 당시의 작품을 연구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학습법이라 하겠다.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어떤 대위책이 되었든 타 대위교재와 비교 분석 하는 것은 학습 과정에서 많은 혼란을 가져오게 되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겠다.

출판사: 음악춘추사 (02-2231-9001~2)

구입방법: 인터넷 http://www.eccs.co.kr / 전국 대형서점 (교보, 영풍, 대한음악사)

Copyrights 2018 ⓒ Lee Hae-Sung. All rights reserved. 이혜성교수  goyoh61@gmail.com